순천하나병원 박용진원장 KBS 라디오 상담실 출연 : 추간판탈출증
허리디스크, 추간판탈출증이란?
우리나라 사람들 중 무려 80%가 경험하는 허리통증!
그 중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추간판탈출증]
이라고 합니다.
추간판이란?
척추 뼈 사이사이를 이어주는 아주 강력한
콜라겐 조직입니다.


이 추간판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 수핵 : 추간판의 가운데 부분
· 섬유륜 : 추간판의 바깥부분
<그림 참고>
추간판 탈출증은 바깥쪽에 위치한 섬유륜이
얇아지거나 구멍이 생기면서
수핵이 바깥쪽으로 밀려 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추간판이 탈출하는 원인은?
추간판은 아주 강력한 탄성있는 콜라겐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1. 반복적인 허리 사용
허리에 부담이 되는 자세나 행동을
오랫동안 반복하게 되면
디스크에 큰 압력을 받아 약해지게 되겠죠?
이렇게 되면 결국 디스크 탈출증으로 가는
위험을 높이게 되는 것입니다.
허리를 많이 쓰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2. 혈액순환 문제
또 다른 원인으로는
혈액순환이 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고 합니다.
보통 흡연은 디스크탈출증의 위험요인 중
한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흡연을 하면 혈관이 좁아져
디스크로 가는 혈액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3. 외상
또한,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때, 세게 부딪혔을때
다친 병력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극심한 허리통증이 있지만
신경이 지나가는 부위로 추간판이 탈출하는 경우
신경근을 압박하게 되고 결국 신경근이 담당하는
감각신경분절을 따라 허리에서 엉치, 허벅지,
심하면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양상으로
다리로 내려오는 저리는 증상이나 통증이
좀 더 명확한 증상이 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가 아닌데 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다른 질환 >>
· 단순 염좌 : 근육에서 오는 통증입니다.
· 족저근막염 또는 지간신경종 : 발가락 혹은
발바닥만 저리거나 통증이 있으면
디스크가 아닌 다른 질환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의의 신체진찰과 문진이 중요하답니다.

진단은 어떻게 할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문진과 신체진찰입니다.
그 후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지 엑스레이를 통해
확인하고 엑스레이와 신경학적 검사상에서
저명할 때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T 검사는 보통 척추 골절이 있거나 퇴행성 병변이
심한 경우 같이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간판 탈출증 치료방법은?
추간판 탈출증은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질환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으로 진행합니다.
1차 치료 :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병행
2차 치료 : 신경차단술로 신경 주변 염증완화
(1~2주 간격 1회~5회까지 시행)
3차 치료 : 수핵 성형술이나 풍선성형술 등의 시술
수술은 언제 필요한가요?
4~6주간의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신경변성 우려가 있을 때
가능하면 6개월 이내에는 수술적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신경 압박이 심해서 힘이 떨어지거나
어떠한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 좋아지지않아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회복기간은?
수술당일 - 침상안정
수술다음날 - 허리보호대 착용후 보행 시작.
수술 후 4~6주까지는 안정을 취하도록하고
3~6개월까지는 허리에 무리가 가는 운동이나 일은
피한는것이 좋습니다.
허리디스크 예방과 관리
1. 바른자세 : 허리를 펴고 앉고, 걸을 때도
허리를 세워 걷습니다.
2. 걷기운동: 빠른 걸음으로 걷기 운동을 합니다.
3. 코어 강화 운동 : 복부와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중요합니다.
4. 금연 : 흡연은 디스크에 영향을 미치므로
금연을 통해 폐건강 뿐만 아니라
허리건강도 지키세요~!!

순천하나병원이 여러분의 척추 건강을
응원합니다!
https://www.youtube.com/live/V8_nQhD5si8?si=Y01g87sgUmq8d_jg